본문 바로가기

Psychology_Korean

심리학자와 함께 가는 치유의 영화관 : Part.1 자기직면 _ 1)

< 레볼루셔너리 로드 > 나의 내면과 어떻게 만날것인가 : ' 그림자 ' 살리기

가족이 위기에 처했다는 것을 직면하고 있다는 점에서 용감하다

나아가 무엇이 문제인지 어느 정도는 파악하고 있다는 점에서 남다르다

각자 어느 순간 선택을 미루고 상황에 끌려가고 있다는 것을 안다.

처참한 현실을 보여주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 레볼루셔너리 로드> 는 따뜻한 영화다

결국 우리 모두 비슷한 문제로 고민하고 있음을 알려주며

서로를 공감과 연민의 시선으로 바라보게 한다.

지금 이 순간 불행하다고 느끼는가.

그렇다면, 가장 가까운 사람의 손을 잡고

내가 경험하고 있는 현실을 털어놓아보자

가면을 벗어던지고 천천히 , 무엇이 그토록 힘든지

하나하나씩

이때 2가지를 기억하면 좋다.

모든 인간의 욕구는 보편적이므로 상대방이 나에게 공감해줄 것이라고 믿는다

동시에 각자가 경험하는 현실은 매우 다를 수 있으니

이상해 보이는 나를 스스로 수용하면서 당당히 말한다.

사랑하는 사람이라면 당신을 기꺼이 안아줄 것이다.


< 웨이트리스 > : 나를 위한 또 다른 선택

이때 '그렇게 힘들면 이혼하세요'. 라는 한마디에 그녀의 얼굴에 조금씩 생기가 돌았다

이처럼 우리는 선택할 수 있는 것들에 대해 자각조차 하지 못하는 경우가 참 많다.

물론 선택이라는 것이 말처럼 단순한 것은 아니지만 말이다.

  • 삶의 저항을 극복하고 용기 있게 홀로서기

실존철학을 기초로 한 실존주의 심리치료는 현상학적 관점을 취한다.

즉, 인간의 존재는 고정된 것이 아니라, 변화하는 것이어서, 타인 혹은 자기 자신과의 관계 안에서 발견된다.

근본적으로 자유로운 존재인 인간에 대해 , 사르트르는 '자기 가치의 창조자'라고 했다.

결국 자기 정체성은 선택의 결과물이 된다.

실존주의 치료의 목표는 현재의 불안에 직면하여

저항을 거두고, 용감하게 새로운 선택을 할 수 있도록 돕는 데 있다.

예를 들어, < 웨이트리스>에서의 제나를 실존치료의 관점에서 보면,

다음과 같이 해석된다.

끔찍한 결혼생활이라 할지라도 그것을 선택한 사람은 제나 자신이기 때문에

다른 선택을 할 수 있다.

남편을 떠나지 못하는 이유는 돈이 없어서가 아니라

독립에 대한 불안 때문이다.

그녀는 지금 자신의 내적 능력을 포기한 채

불행을 남편 탓으로 돌리며 삶을 포기하고 만다.

막연한 두려움을 거두고

그녀의 잠재력을 발견해

용감하게 독립하는 것이 치료의 목적이다.

  • 순간의 선택은 내가 할 수 있는 여러 선택 중 하나일 뿐이다

아이들 걱정에 이혼을 미루다 폭력적인 가정에 아이들을 방치하는 경우는 치명적인 결과를 가져오기도 한다.

이런 경우는 엄밀히 따지면 선택을 미루는 것이 아니라, 변화하지 않는 것을 선택한 것이다. 그리고 그에 대한 책임은 당연히 스스로 져야 한다.

그러나 모든 ㄴ것을 개인의 선택과 책임의 문제로 보기에는 사회의 장벽이 너무 높다.

나의 자유로운 선택은 존중받지 못하고

때로는 사회의 낙오자로 찍히기도 한다.

사람들은 당연한 권리를 주장할 수 없어

감정을 속으로 삭이며 우울해한다.